주제별

    주제어를 통해 쉽게 설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담양군] 송산골 범바우 이야기 인기 0    조회 161    댓글 0

    송산 범바우가 어찌 나온지 아요? 최씨 어른이 굉장히 학식이 깊었다 그래요. 시아부지 할아부진디 탐진 최씨라. 시방 옥과 입면 골프장 있는디가 우리 선산이라. 명당인디. 호랑이 눈에다가 선산을 썼소, 참 좋다요. 송산 범바우에 호랑이가 앉았다가 할아부지가 오면 할아부지를 업고 옥과 선산에 태우고 갔다가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5. 29

    [담양군] 송산골 천석군 이야기 인기 0    조회 158    댓글 0

    옛날에 시아부지한테 들었어. 송산골에 동네가 없을 때 이야기여. 아무 것도 없는 사람이 송산골 가서 자다가 꿈을 꾸었는디 "여그서 헤매지 말고 조리장수를 해라." 해서 오도 가도 못한 사람이 시방 같으면 노숙자 같은 사람이 조리를 만들어 팔았대요. 돈 하나 주믄 조리 하나 주고, 또 돈 하나 주믄 조리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5. 29

    [진도군] 송산과 상만은 진도 문헌방 인기 0    조회 254    댓글 0

    (조사자 : 옛날에 거 송산마을이 아주 유래가 있는 곳이고, 진도에서 상만마을이 제일 큰 서당 역할을 하고 학자들을 많이 배출하고 했는데, 그것에 대해서 어르신이 아시는 대로 한 번 얘기 해주십시오.)제가 알기로는 진도 문헌방이 우리 송산마을하고 임회면 상만이로(상만마을로) 기록되얏대요. 그랬는데 임회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6. 3

    [강진군] 송산마을 6.25시절 인기 0    조회 249    댓글 0

    구술자: 특별한 그런 것은 없었고 여기 우리 마을이 좀 안 좋은 게, 고개치에 틀어져 있는 숲이 송산이 많았어. 그래, 6.25 내가 어릴 때 그때 내가 10살이나 11살이나 먹었을 때 초등학교 다닐 때 것 같은데 6.25가 나서 인민군들이 점령해 있을 때, 그 후로 북군이 밀고 올라가니까 인민군들 올라…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12. 04

    [담양군] 송산마을 지명들 인기 0    조회 157    댓글 0

    진주강씨 제각이 국도 넘어에 바로 육교 앞에 보면은 고가 옛날 오리탕 집에 그 밑에가 제각이 있어요. 신학리 강씨들 제각이지. 지금은 식당 안 해요. 그리고 지금 진주강씨 선산이 있어요. 창평으로 가다보면 김남준씨 거시기 있는데 흥양이씨 제각이고 그 안에 제각이 있어요. 기와집 맹키로 근데 관리를 안 하…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18

    [강진군] 송산마을유래 인기 0    조회 181    댓글 0

    구술자: 솔송 묏산 송산이라고 했고 그랬고 여기 송산에서 도로로 돌아간 데가 있어. 그래서 여기를 고견치(顧見峙)라고 했어조사자: 고견치요?구술자: 응. 고견치라고!  그런께[그러니까] 뭐라냐면[뭐라고 하냐면] 그런 유래 말이 있어, 그런데 강진읍 시장에서 소를 팔고 저기 칠량 저쪽에서 옛날에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12. 04

    [진도군] 송씨들의 자자유촌 초사리 초상마을 인기 0    조회 194    댓글 0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했을 때, 고흥에 있던 송희립, 송여립 장군의 후손들이 바로 초상에 들어와가지고 기거하면서, 초상 마을에 그 송씨들이 제일 먼저 자자유촌 묵었던 곳이 바로 초상 초사리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초상은 ‘송대장’이라는 골짜기가 있는데, 그 골짜기에 아주 해묵은 송대장골 묘소가 많이 생…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7. 4

    [담양군] 송씨문중과 상덕마을 인기 0    조회 160    댓글 0

    300년에서 350년인지 몰라. 송희경씨는 송순선생님의 고조부가 먼저 오셨다고 들었어. 송희경 선생님이 세종, 문종, 단종 삼대에 걸쳐 승문원에 제직을 하시고 일본거시기(회례사)도 갔다 왔고. 1455년에 정착해서 500년이 되았죠. 90프로가 (송씨)자자일촌이지. 10프로는 매제 매향 사우같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18

    [영암군] 송아지 마중 인기 0    조회 164    댓글 0

    시앙치는 집안의 큰 재산이었어요. 소가 새끼를 낳을 때쯤 되면 마구간을 깨끗이 청소하고, 주 변을 정돈하고 기다린디, 마치 귀한 손님맞이 마냥 준비해요. 출산 때 사고를 방지해 달라고 재, 물, 소금을 놓고 기다려요. 이것들은 살균작용도 하겠지만 그냥 소원풀이도 되고, 심적으로 마음 안정도 시키기 위해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장흥군] 송아지를 메기가 물고 간 독실보(犢失洑) 인기 0    조회 241    댓글 0

    순지마을 건너 송산 위의 절벽 밑의 깊은 쏘. 독실보 위의 쏘는 하두 깊은 곳으로 옛날부터 소문난 깊은 강이어서, 강둑에 매어놓은 송아지를 쏘 안에 서식한 메기가 나와 송아지를 물고 들어가 송아지를 잃었다 해서, 송아지 독(犢)자에 잃을 실(失)자를 썼다고 전해지고 있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