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어를 통해 쉽게 설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 이름이 뭐예요?) 산골착, 거 그 산골착 우게, 그 산이 장수가 많이 난 산이라 해서 일본사람들이 금을 파버렸다요. 금도 많이 났다요. (금을 파버려서 기운이 없어졌나요?) 장수도 없어졌다요. 여그요. 복내 난장을 허면 그 마을에서 물어보고 씨름을 따가고 그랬어요. 우리 마을에서 안 따갈 …
허준에 대한 기록이 몇 군데에 나오는데. 가장 구체적인 기록들이 아마 미암일기라고 이야기를 해요. 미암일기에 허준에 대한 내용이 19번인가 그렇게 나오는데. 그 내용을 보면은 미암이 허준을 처음 만나게 된 때, 나중에 미암이 허준으로부터 치료를 받기도 하고 그래서 그 실력을 충분히 알고 나중에 미암이 양…
떡뫼에 얽힌 전설 안들어 보셨어여? 『그 바우에 대한 전설이란 것이 뭐냐하믄 떴다 떴다 가다가 떡 뫼산 놔블고 용방죽 어쩐데 <산이 떠 온께 홍단이 에미가 홍단이 낳아갔고 빨래를 함시롱 떠온다 떠온 다 떡뫼산 떡산 떠온다 그랑께 한토막이 툭 갈라져서 서울로 한 도막이 가블고 한 도막은 여가 앉아…
『여기 마을 이름이 왜 가산이라 했어요?』 가산이라고 한 역사? 산이 좋다고 해야꼬 그라고 이전에 는 여가 으쭈고 돼았냐 하니, 쩌가 육지가 안돼야 있었어 딱도리 섬이였어. 여가 이쪽으로 나배하고 그 럼 노두라고 바우 도팍 갖다 놓고 물 쓰믄 걸어댕꼬 물 쓰믄 못댕꼬 배가 댕꼬 그랬어 근디 가산이다 …
지금 노인양반들 다 돌아가셔불고 지금 남자로서는 여그 한 분 살아 계신디 84세 잡순 양반인디 그 양반도 아퍼 계시고, 그러고는 인자 내가 옛날 웃대에서 할아버지들한테서 들은 말로는 우리 동네 마을이 산이천이란 마을은 원래 하씨터여, 하씨 집성촌 말허자면 전체를 이루고 살았는디⋯ 모냐 먼저 뭔 하씬지는 …
우리 마을은 지형지세로 봐서 포란형 형국의 명당터이고 ,월출산 정상이 정면으로 바라다 보이는 영 암군에서 몇 안 되는 경치 좋고 위치가 좋은 곳이여라. 마을 설촌 전설에 의하면 최초 강씨들이 집성촌으로 이루고 살다가, 나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웠고 우 리 윤씨 십일대조 할아버지께서 입촌하여 지금까지…
우리 마을은 운곡마을인데, 예전에는 모여 살게 된 것들이 깊은 산속에 있는 농경지가 저 들판에 있는 농경지보다 비옥했대요. 그래서 산에서 산약초 퇴비를 더 많이 넣을 수가 있고 그래서 사람들이 모여서 시작했나 봐요. 한 때는 많은 가구 수가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큰 도로가 나지 않을 때는 이…
오래된 얘긴디, 진짜로 있었다 합디다. 저기 구적굴 있는 디가 전씨들 지각이 있었어. 육이오 지낸 뒤에 거그서 사는 양반이 동네에 내려와 술을 잡수고, 밤에 지각으로 올라가면 호랭이가 불을 켜서 안내 하더라 했어라. 말하자면 전씨들 산지기지. 요즘은 그런 산지기 없지라. 걱서 오 가리에다 산신령을 모시고…
옛날에 어떤 정승이 살았어요. 이 정승한테 예쁜 딸이 하나 있었어요. 그랬는데, 어느날 산적이 그 딸을 납치를 해가버렸어.그러니까 큰일 났지. 그래서 정승이 포도들을 풀어가지고 도둑 잡고 딸을 구하러 보냈어. 그랬는디 도둑을 잡으로 가기만 가면 도둑이 죽어 불고 안 와. 그래서 군인들까지 풀었지만 딸을 …
어, 산정은, 흠, 정월 보름에 당제를 지내게 됩니다. 당제 이름은 도제, 그 도제라는 제사를 지내게 되는데 도제 이후에 헌식굿, 에 이런 식으로 하고 마을 집집마다 돌고 있는 마당밟기, 이런 식으로 큰 틀을 갖게 되는데, 어 일제 강점기 때는 굿을 이르케 흔하게 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주재…
(58323)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777 Tel : 061-339-6925
777, Bitgaram-ro, Naju-si, Jeollanam-do, Korea
Copyrightⓒ20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