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주제어를 통해 쉽게 설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구례군] 봉덕마을의 유래 인기 0    조회 180    댓글 0

    현재는 봉덕이고(응 봉덕이여) 봉덕마을이고,조(조자) 군 구례군이라고 군(네 조군자) 섭 (조군섭님) 네. 36 1936(1936년) 12월 25일 (네) 애맨나이라. 마을에 대해서 거 옛날 사람들이 있어가꼬 우리들은 전해들은 얘긴데, 우리 동네가 옛날에는 뭐 당 당봉이라고도 허고, 우리가 알기로는 저우…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4월 15일

    [구례군] 봉덕마을의 풍수지리학적 이야기 인기 0    조회 249    댓글 0

    봉덕마을은 원래가 당동하고 봉학동이라는 그 두개 마을이 이렇게 인제 연적되어 있었는데, 예 1940년도에 두 마을을 합해가지고, 봉덕이라고 새 봉자 큰 덕자 봉덕이라는 마을로 개칭을 해 가지고, 예, 지금까지 이렇게 인제 어 지명을 유지하고 있는데 원래 봉덕은 그 학이 양쪽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국이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4월 15일

    [영광군] 봉덕산 산신 인기 0    조회 332    댓글 0

    @ 여기로 이사 오실 때, 이 명당으로 봉덕산을 보시고 오셨어요? 아니지요. 집 없어서. 이제 우리가 부안 살았거든요. 부안군 부안면 살았는데요. 좀 어디있냐? 빈집 있는가 알아 보랬더니 알아봤어요. 그랬는데 이제 알아봤다고 그러기에 전화가 왔어요. 그래서 인제 어머니가 그날 아침에 들어와 보시더니요.…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7-26

    [영광군] 봉덕산 용구녕(용구멍) 인기 0    조회 363    댓글 0

    제 말씀 들어보세요. 우리가 저 봉덕산 용구녕(용구멍)에서 신추모래등으로 구녕이 떨어졌단말이요. 그때 당시 아까 용구녕에서 용이 신추모래등으로 나왔다 그래. 그래서 내가 아이들을 데리고 내가 후레시를 새놈 두 개를 갖고 초등학교 때 그 용구녕을 돌격이다. 그래갖고 우리가 한번 끝까지 신추로 떨어진다 해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8-14

    [보성군] 봉도 먹이가 있어야 날아든다 인기 0    조회 397    댓글 0

    (왜 봉동이 왜 봉동이예요?) 봉이 새 중에서는 질로 좋은 새 아닙니까? 봉이 봉 마을이라고 그런 것인디 그전에 철도가 안 났거든요. 철도가, 안 났는디, 그 후에 모르것소. 뒷산이 봉 형국이여. 우리 마을 뒷산이. 그래서 봉 형국이라 봉동이라 했는디, 나중에 철도가 나니까 선견지명이 봉이 있었다. 그…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6-28(화)

    [신안군] 봉도 오름 잔등 도깨비 인기 0    조회 253    댓글 0

    우리 형님도 전에 봉도 염전에 댕기시면서 오름 오다가 오름 잔등 보면 돌 넣는데 샛돌이 있어. 그란 디 소나무가 거가 겁나 있어. 여짝서 넘어가면. 거그 올 때 밤에 온디 앞에서 불 들어간 걸 보고 놀래 갖고 나도 서이 간디 뒤에 사람들은 도깨비 불 봤다고, 나는 안보고.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 12. 17(토)

    [신안군] 봉도마을 용담샘 전설 인기 0    조회 248    댓글 0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신안군] 봉동마을 장군바위·새박굽·진재잔등 전설 인기 0    조회 247    댓글 0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고흥군] 봉두산의 기우제 인기 0    조회 324    댓글 0

    명당을 찾는다. 명당자리라고 해도 옛날에는 쩌그 봉두산 묫을 몰래 써요. 마을 사람들이 못 쓰게 하죠. 그랑께 모르게 갖다가 거그다 묘를 쓴단 말이여. 그러면은 날이 이렇게 쭉 비가 안 오고 가물면은 “틀림없이 누가 거그다 묫을 썼다, 묫을 썼기 때문에 이렇게 가물다.” 해서 그걸 부락민들이 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8-03

    [신안군] 봉리의 유래 인기 0    조회 238    댓글 0

    일찍이 책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산의 모양새가 봉황의 형국이라서 봉리라고 하였는데, 우리 마을의 뒷산이 봉의 머리에 해당 된디, 예전 어르신들이 말하기를 이곳이 봉의 머리 부분이라서 돌로 된 비석 을 못 세운다고 했어요. 봉리는 우리 저쪽 죽곡에서부터 아까침에 옛날에 그 이영리씨 어르신 사시는 마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