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보기
총 5만여 점이며, 난파선, 수중문화재, 항해술 자료, 모형선박, 원형선박, 해양민속품, 고기잡이 도구 등이 있다. 수중발굴과 해양문화 조사가 활발히 이뤄져 소장품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물의 정보는 디지털 자료로 정리하고 있다.
※ 해당 주제를 클릭하면 내용을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조사자 : 성도암 그 돌섬 이야기 한번.) 그러니까 아, 인자 그 도사가 인자 옛날 우리가 듣는 거시기로는, 도사가 가을에 이삭 주워 갖고, 그그다가 아 쌀로 이르케 봉학했는디. 인자 스님이 한분 더 오셔갖고 둘이 밥을 해야 쓰것인디 시간이 부족한께 ,그 비지땅으로 그 구녁을 쑤셔서 기양 쌀이 안 나…
여수로 갈라믄 요리 해서 땅끝으로 해서 목포로 가지 않습니까. 그래 목포, 저 뭐시기 안 있습니까. 저 울둘목, 울둘목이 이리 가요. 이 앞으로 해서 가요. 지금 에, 성마산이라고 있어요. 면사무소 옆에 성마산. 그게 ‘성이 있고, 말을 달렸다’ 하는 성마산이 있는디 그것은 말을 달리고. 또 …
조사자 : 저기 석곡, 석곡 예… 제보자 : 나도 저기 아버님한테 들은 얘긴데 과거에 신숭겸 장군이 전쟁터에 나가서 돌아올 땍에 명마를 타고 다녔는데 그 명마를 타고 오면서 지금 석곡 능파리에 보면 태끌바위라는 바위가 있는데 거기서 그 때 당시에는 백제…백제시대라 그러지 본터였지 아마도.. 조사자 :…
구술자: 지금도 영풍리를 부를 때 성밭이라고 부르는데 성밭 원래는 성밖이라고 들었습니다. 이렇게 부르다가 성밭이 되었는데 그것은 1426년도부터 약 50년 동안 동쪽에 있는 수암 마을에 읍치소가 있었는데 그 치소 밖에 있어서 성밖이라고 그랬다고 합니다. 근데 그 성밖이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성밭 성밭으로 …
나는 조부모,부모,그리고 우리 현재 5형제 중 맏이다.그리고 6대 종손이다. 나는 선도 보지 않고 결혼했다. 조부모님의 명에 의해 따랐다. 그래서 혼인을 하게 되고 말 타고 가는데 처음 탄 말 위는 겨울철이라 엄청 추웠다. 초례청 에 다다르니 수많은 하객이 만장을 이루고 있었다. 혼례를 잘 마치고 처가에…
만의총은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1597년도 경, 왜, 왜군이 이, 군함으로 어,인제, 그 부산쪽서부터 쭉 쳐들어 오는 것 뿐만 아니라, 1597년도에 어란진 항에 왜군이 이순신 장군한테 대폐하는 일이. 1950, 1597년 어란진 포구에서 왜군이 이순신 장군한테 당하기 시작해요. 그래 가지고 바다로도 쳐…
성산의 성은 소리 성입니다. 그러면 무슨 소리냐?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마을 앞에 증암천이 흐르는데, 그 증암천 흐르는 물소리를 말한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증암천 너머 마을 앞산이 사직산입니다. 사직산 남쪽의 산을 매봉이라고 하는데 하늘을 나는 수리매의 울음소리라는 설입니다. 매봉이 캄캄하면 여…
(조사자 : 성산리는 어떤 분이 와서 살았나요?)성씨는 이씨(성주 이씨)하고 채씨(평강 채씨)지. 성은(성인)이 산다고(난다고) 해서 성산리지. 성뫼라고 하다가 성산이라고 하지. 어른들이 지어놔서 모르지. 성산리, 병풍리 이렇게 하니까 성산리지. 삼바우라고 있어. 당산제랑 지내고 그런디⋯. 예전에는 10…
(김여중) 내가 89이고 이 양반(김여현)이 1924년생 95세요. 회진댁(임양례)도 95세요. 제일 나이가 많은 분은 곡성양반(공재홍)인데 1921년생 98세요. 우리 마을이 장수마을로 유명한 마을이요. 1981년에 전두환이가 이순자랑 우리 성산마을에서 하룻밤 자고 갔어요. 자고 간 집은 당시…
그 노래가 조병숙씨가 아들이고 그 아버지가 누구요? (청중 : 조지원씨.) 그 양반이 노래를 지어겠어. 그렇게. 조병숙씨 국회의원 아버지가. (청중 : 국회의원 못 했제. 후보해 갖고 떨어졌제. 조병숙씨가 옛날에 민주당 서울시당 선전부장이었어요. 이 마을이 조박사가 와서 주무시고 …
(58323)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777 Tel : 061-339-6925
777, Bitgaram-ro, Naju-si, Jeollanam-do, Korea
Copyrightⓒ20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