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주제별보기

    총 5만여 점이며, 난파선, 수중문화재, 항해술 자료, 모형선박, 원형선박, 해양민속품, 고기잡이 도구 등이 있다. 수중발굴과 해양문화 조사가 활발히 이뤄져 소장품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물의 정보는 디지털 자료로 정리하고 있다.

    ※ 해당 주제를 클릭하면 내용을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

    [영광군] 대절산 금보깨와 죽산사 화미 인기 0    조회 319    댓글 0

    그 다음에 백수 대설산 가면은 보깨가 금뽑개(밥그릇뚜껑)가 금뽑개여 금뽐개. 응. 삼경이 금뽑개여. 근디 이 옹달샘이 있어. 대설산 거가 가면 그러면 언제든지 금뽑개가 떠 있어. 이것은 전설 이 아니여. 진짜 있는 이야기여. 떠 있는디 물을 먹고는 그 놈이 욕심 난게 갖고 와버려. 지기 집으로 그…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9-30

    [담양군] 대조마을 유래 인기 0    조회 217    댓글 0

    터가 그래요. 한새몰. 한새몰이라고 해가지고 대조마을로 됐더라고요. 한새몰이라고 할까 하다가 대조마을로 했어요. (한새몰은 대조동의 우리말임)어르신들이 진등 밭을 벌로(밭농사 지으러) 가면서 진등으로 간다고 하거든요. 진소등이라고 했나 봐요. 우리가 말하기로는 진등이라고 말했어요. 대략 94년경에 대전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7. 5

    [신안군] 대초 1, 2, 4구 합동 제사에 관한 이야기 인기 0    조회 306    댓글 0

    장고는 원대초에서 당골을 불러다가 무당을 당골이라고 하는데 원대초에서 옛날에 살았어. 아프거나 명절에 멋하믄 아파가지고 굿이나하고 그라믄 그런 사람 불러다가 하제. 뒤에 있는 산이 원대초 당산이 고 1구, 2구, 4구 합해서 굿을 합해가꼬 치고 옛날에 처음에는 그랬다 합디다. 합해가꼬 굿치고 저그 올…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05-07-21

    [신안군] 대촌마을 넋바위 전설 인기 0    조회 316    댓글 0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구례군] 대촌마을 유래 인기 0    조회 277    댓글 0

    확실히 모르겠는데 한 백~오~육십년 전 인 것 같애요. 그런디 그 인자 양천리라 했는디 지천이라고 여거 있는디 그~거이 아마 간전에서는 제일 먼저 부락이 형성 된 디가 그기라고 인자 유래라 헌거이라 하고 지금은 뭐 절하나 지어 놓고 뭐 그거 불가 한 집 허고 두 집인가 그 사는디 세집 사는구나~ 지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5월 29일

    [담양군] 대추마을 유래 인기 0    조회 218    댓글 0

    큰대(大)에다가 가을추(秋). 가을에 풍성한 마을이라고 해서 대추리라고 합니다. 벼 같은 거  평야지대기 때문에 나락이 많이 나는 곳이라 해서 대추리다. 대추나무(이야기)는 옛날에 아주 큰 나무가 심어져 있어서 대추리라고 했는갑만. 옛날 어르신들이 고인이 되아 가지고 이야기해줄 어르신들이 없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08. 15

    [담양군] 대추마을 풍속들 인기 0    조회 219    댓글 0

    많이 했지 참말로. 시방은 없어져 버렸을 것이네. 정월 보름에 많이 해. 초하루에 시작해서. 소고 치고, 장구, 징, 꽹과리, 걸궁을 했제. 아무라도 다 했지. 잘 친 사람은 별로 없고. 정현석씨가 장구잽이요. 대동양반이요. 상쇄는 최종룡씨. 해방 후 1970년까지 많이 했제.(조사자 : 대보름행사는 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08. 15

    [담양군] 대통령의 글씨들 인기 0    조회 215    댓글 0

    원래 관가정 주위에 마을이 있었어요. 분향고지, 부곽동이라고 불렀어요. 여기 논을 파 보면 기왓장이 나와요. 봄과 여름, 가을에 농사일을 살피기 위하여 지은 모정 형태의 정자입니다. 이곳 관가정 현판은 김녹영 전의원이 부탁을 해서 윤보선 전대통령이 쓴 글씨입니다. 동강조대에는 전 이승만 대통령의…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2

    [구례군] 대평 유래 인기 0    조회 288    댓글 0

    인자~한들이라고 부를 적에는 옛날~음~ 광산 김씨들이라제~ 아이고~한~들이로구나 좋다고 들을~댕기면서 그랬데. 요렇게 비~안 세워놨어, 모도 유래라고~ 그래서 인자 한들이라고 그랬데. 아~이~고~한 들~한~들이로구나~ 그래가꼬 한들이래. 그런디 인자 시방은 뭐 한들이네 뭐 이렇데. 문척도 보면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5월 10일

    [장흥군] 대평마을 식은포 인기 0    조회 334    댓글 0

    식은포는 지금 삼산 방조제를 막어서 농경지가 된 포구 를 식은포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쉰게 또는 식은 포, 이렇게 여러 가지 발음으로 불렀어요. 그런데 왜 식은포 그러냐면 그건 소리나는대로 읽으니까 식은포고, 식은포 원 글자는 불 어날 식(殖)자 은 은(銀)자 그래서 식은포라고 하는데, 여기 서 식은포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