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지역별 설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기시암에 물이 너무 좋아. 근데 지금은 사격장이 생겨버려서 안 나와. 나오기야 나오지 쬐까쓱 나와. 물은 좋았어. 옛날에 산에서 나무를 해가지고 오다가 물마시고 했지. 옛날에는 산에서 나오는 물 많이 먹었지. 우리 부락도 그 물을 다 먹었어. 땅속에서 나오니까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지. 시방…
뭐 확실한 근거가 없는 연도가 되겄읍니다마는 우리 고란리 그 햇골리라는 그 지명을 갖고 있는 데 가 있는데, 우리가 거 어렸을 적 일이 이얘긴데 옛날 어르신네들 이야기를 들어보며는 그 곧 밭에가 아, 독으로 세운 석비가 하나 있는데 아조 그 영검이 있답니다. 해서 옛날 그 도사 우리가 얘기하는 중이…
구술자: 그 다음은 50깃발 이야기를 해드릴까 합니다. 저희 고모님이 아버지 바로 밑에 친 동생인데 현재는 고인이 되셨는데 저희 어렸을 때 신끼가 좀 있어가지고 점쟁이 비슷하니 신끼가 있어가지고 점을 좀 보셨는데 아버지 어머님이 아버지 작은 아버지 이분들이 점을 한다고 미친년이다고 압박을 해서 못하게 해…
새로울 신자에 남쪽에 있어서 남을 붙여서 신남마을이여. (1963년 남부마을에서 분리됨)거기 비행장터가 양영제지 공장부터서 동쪽으로 2킬로가, 월본 뒤에 2킬로가 그 옆에 가서 좌측으로가 보조 활주로가 있었어. 월인동에서 여기 대치비행장까지. 한재중학교 앞으로. 좌측 보조 활주로도 2킬로 됐지. 그때 당…
박정대가 신농중학교를 세웠어요. 지금은 없어지고 그 자리에 향원당이 들어섰어요. 1962년 무렵 박정대란 분이 민영도 면장 시절에 신농중학교를 설립하고 3~4년 후에 죽었어요. 죽기 전에 그 학교 명의를 침을 아주 잘 놓는 최병채라는 사람한테 팔았어요. 최병채라는 사람은 엄청 부자제. 그리고 이 사람이 …
마을 서북쪽 100m 지점(신덕 고분) 남쪽 300m 지점(예덕 고분)에 백제시대에서 마한으로 이어지는 시대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이곳 주변 일대해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예전에는 마분 정(1789)이라 했는데, 말 무덤, 돌무덤으로 불려 왔었다. 지금도 …
신라 얘기가 아니고요. 저 고려 왕건 태조 고려 때 얘긴데, 그 때에는 대개 불도(佛道)로 숭상을 했기 때문에 우리 불교란 것이 대개 동북간으로 해서, 중국에서 이리 건네 와서 이렇게 되았다고 그러드만이요 잉? 즉 말허먼.우리가 사적을 보게 된다먼 그랬는데, 대개 아들을 못나먼 절에가 가서 빌어 갖고, …
관산읍 동두마을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그때 치소가 방 촌일 때, 동쪽의 마을이라 해서 동두머리라, 동두라 이렇게 했어요. 그래서 신동이 동둔데, 어떤 젊은 부부가 동두머리 에 와서 입촌해서 와서 살아. 고기잡이를 하고 사는데, 하루는 남편이 고기를 잡으러 갔는데, 안 돌아와. 뒷날도 안 돌아와. 며칠이 …
일지승이 계셨는데, 그 분이 명당을 찾으러 이 고을로 들어왔어요. 거기서 하신 말씀이 ‘입자미동 유두공지풍 반반어석흔 유고인지적’이란 말씀을 하셨거든요. 그 말을 풀이를 하면 ‘자미마을에 들어서니 옛 두공부의 풍속이 있고 바위에 나타난 뚜렷한 흔적은 고인의 발자취가 남아 있다’는 뜻이거든요. 자미…
신광 삼덕리에는 지금도 김유신 장군의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삼국시대 말엽에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사와 전투를 하기 위해 이 곳(삼덕)을 지나가다 맑은 강물이 흐르고 있어, 말에 물을 먹이며 휴식을 취했다. 그런 후에 전열을 가다듬고 무안으로 진격하여 백제군을 격파 했다고 전해여 내려 왔…
(58323)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777 Tel : 061-339-6925
777, Bitgaram-ro, Naju-si, Jeollanam-do, Korea
Copyrightⓒ20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