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색인

    • HOME >
    • 가나다색인

    설화의 모든 정보를 한글 가나다순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항목명 이외의 이칭(異稱)으로도 그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진도군] 대덕산의 여러 명칭 인기 0    조회 244    댓글 0

    대덕산은 높이가 227미터, 그리고 ‘큰 대(大)’ 자, ‘큰 덕(德)’ 자, ‘뫼 산(山)’자를 써가지고 대덕산이라 하는데 정식 명칭은 ‘봉황새 봉(鳳)’자에다, ‘닭 계(鷄)’자에다, ‘뫼 산’자라 합니다. 그런데 실지로는 옛날 어르신 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비행기산’이라 하지 봉계산이나 대덕산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5. 21

    [함평군] 대동면 향교 처녀바위 인기 0    조회 335    댓글 0

    먼 옛날 황새 골에서 십 여리 떨어진 동쪽 고산 봉 밑에 마을, 송산에서 17세 난 소녀가 매일 밤 차례로 없어지는 괴이한 일이 일어났는데, 이 마을에 딸을 가진 사람들은 불안하고 무서워 고을 원님에게 달려가 이 사실을 아뢰고, 이 괴변을 막아 달라고 탄원서를 올렸다. 고을 원님에게도 어여쁜 17세난 딸…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7월 4일 오전 11시

    [담양군] 대동보 이야기 인기 0    조회 219    댓글 0

    우리 마을에서 가장 중요하고 큰 보입니다. 저 큰 들이 대동보 물로 농사를 지었어요. 지금은 농업용 수로로 물을 대기 때문에 지금은 없어요. 형태만 남아 있고 물론 지금도 물막이를 하면 물이 차요. 옛날에 보 안에 송장바우가 있었는데 그 송장바우를 있으면 마을이 없어진다고 해서 6.25 후에 찬성이 아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7. 28

    [신안군] 대동염전을 일군 박문옥 인기 0    조회 356    댓글 0

    비금에 대동염전이라고 백정이 넘습니다. 그 염전을 개발하는 것은 제가 초등학교 때 봤거든요. 그런 데 해방 직후로 박삼만씨가 염전을 시도를 했어요. 그런데 해보니깐 비금에서도 염전이 되겠거든요. 천 일염전이. 그래서 그것을 처음에 착안해갖고 큰 염전, 염전다운 염전을 만든 것이 비금의 대동염전이거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 11. 19

    [구례군] 대동하 전쟁 인기 0    조회 284    댓글 0

    우리 삼촌이 일본 동경에서 신문을 떼어다가 자기 구역에 배달해주는 사업을 했어. 나도 17살에 가가꼬어~ 배달을 하면서 낮으로 중학교를 다니는디. 그때 만해도 일본 대동하 전쟁이라고 일본 놈들이 중국하고 싸웠어. 그때 나중에 또 미국하고도 싸움이 붙었어. 일본하고 미국하고 그래가꼬 미국 비행기가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5월 8일

    [신안군] 대두마을 전설 인기 0    조회 326    댓글 0

    조선시대 유배지인 흑산도에서 탈출을 성공하려면 대두를 향해 돛을 달아라는 말이 있어 옛 선인들 이 이곳 대두마을 뒷산을 깃점으로 항해하여 탈출에 성공하였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영암군] 대두밥 인기 0    조회 220    댓글 0

    일정 때는 참말로 어렸웠어라. 세 끼 밥은커녕 한 끼 보리밥도 힘들었당께. 아침에는 들보리 갈아서 쑥 썰어 넣고 물 많이 붓고 죽 써서 먹었는디, 거울에 비칠 정도로 밀간 죽을 써서 묵었 당께라. 보리 가루에 쑥을 찧으면 더 찰져. 낮에는 밥 대신 고구마 한 두 개먹고 나무 하러가. 저녁에는 그래도 누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함평군] 대등마을의 군신봉이야 인기 0    조회 364    댓글 0

    이쪽이 전에는 함풍현이라 했는데, 조선 초기에 모평,함평을 합쳐 함평군으로 개칭하 고 3개 면을 두었는데 그 중 한 개면이 영풍현이 영 풍면으로 되었고. 영풍현이 소재지가 만흥이었지. 만 흥 쪽에서 보면 앞산이 임금과 신하를 뜻하는 군신봉 이제. 우리 마을 뒷산이지. 마을을 이루기 전에는 다래와 칡…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7.17

    [보성군] 대련마을 이름의 탄생 인기 0    조회 533    댓글 0

    (대련리로 넘어가는 길에 대여마을에 있는 손광은 선생님의 시비를 알려주었다. 인재들이 많이 나왔다는 터가 좋은 마을이었다.) (연못?) 아니 저수지. 대련 대련저수지. 대련 저수지라고 있어요. (거기는 일본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니, 근데 사실은 일본시대에 그렇게 했다고 해도 지금 우리가 잊어버리면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6-09-27(화)

    [담양군] 대례청의 차일 왕산마을 인기 0    조회 276    댓글 0

    왕산마을은 여기 와서 원래 옥천조씨가 살았어. 이종엽이란 분이 그 집안하고 혼인을 해 가지고 여기 와서 사신 것이제. 왕산 마을에~ 근디 왕산마을이 어떤 상징성이 있는 것은 무어냐며는 여기 보면 중방마을이라고 있어. 중월리 행정구역 이름을 고쳤을 때 고종 때여요. 원래는 우리 순수한 말로는 중방마을이여.…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