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통합검색을 통해 쉽게 설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목포시] 연동 지명 유래 인기 0    조회 279    댓글 0

    연동(蓮洞)이라는 지명은 지금의 산정초등학교 일대에 연방죽이 있어 그곳에 연이 많이 있어서 연동이라 하였다 한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양군] 연동리 입향조 흥양 이씨 인기 0    조회 154    댓글 0

    흥양이씨, 두 번째로 광산김씨, 세 번째로 함양박씨가 들어오고…. 맨 첨에는 지동리였다가, 연못이 있어서 꽃 연(蓮)자 연화동을 써서 연동리라고 했지.칠성제를 지냈지. 말하자면은 일 년 내내 건강하고 그때는 농사천하지대본이라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정월보름날 농사지어가지고 당산나무가 고목이 되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17

    [순천시] 연동보호수 백일홍 인기 0    조회 256    댓글 0

    우리동네 보믄은 보호수가 백일홍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백일홍이 당초에는 집 앞에 논두럭에가 있었는데, 그 논두럭을 합배미를 하면서 백일홍을 갖다가 딴데다 버렸어요. 그런데 그 집 배롱나무 안집 사람이 아파서 점을 허니까, 배롱나무를 파다가 버려서 그 집 사람이 아팠다 그래서, 다시 배롱나무를 파다가 논…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8. 03. 16.

    [목포시] 연동뻘바탕 인기 0    조회 287    댓글 0

    산정초등학교 앞 육교 남쪽과 유달중, 동부시장 일대가 전부 갯벌이 굳어져 생긴 벌판이었다. 용당성당 앞길은 옛날 갯고랑이 있던 곳으로 지금은 복개된 하수로이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양군] 연동사 복원기 인기 0    조회 157    댓글 0

    동굴에서 법당이 있는데, 전우치가 동굴 법당에서 공부를 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어요. 전에 친형님이 연동사 복원을 하셨어요. 원행스님이라고. 3년 전에 열반하셔서 책자로 전우치 전설에 대해 적어 놓으셨다고 해요. 노보살님들이 얘기를 하셔요. 고려시대때 제작된 지장보살이 노천 법당에 있고. 고려 초기 천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11

    [담양군] 연동사 유래 인기 0    조회 159    댓글 0

    연동사는 내가 어렸을 때는 어디 다른 데로 속하는줄 알았는데 우리 금성면, 금성리에 속하는 절이라고 하고 동네서는 수군수군하는 게 벼룩 때문에 망했다고. 절이 없어졌다고 그러면서 6.25때도 그 토굴로 피난을 가고 뒤에 금성산성 우리 금성리에 4개 마을이 있잖아요. 평신기, 문암리, 하성리 가마실, 4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 8. 4

    [목포시] 연동언뚝 인기 0    조회 315    댓글 0

    소위 정병조원뚝이라고 하여 1925년경 축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 기관차사무소(기관고라고도 불리웠다) 뒤 산정동 1053-108(남광식육점) 앞에서 용당동의 진섬(지금의왕자산세차장-산정1동 1061-이 있고 수문이 있다)까지 쌓은 제방이다. 이 제방은 지금도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제방은 인…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목포시] 연동육거리 인기 0    조회 307    댓글 0

    지금은 사라진 연동육교에서 남쪽으로 100여미터 내려가면 여섯갈래로 나뉘어진 길이 있었다. 여기를 연동육거리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새로운 도로가 생기면서 그 모습이 바뀌어 버렸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순천시] 연동은 연혈 풍수 인기 0    조회 265    댓글 0

    ‘맞들 임(任)’자, 임씨들이 여기서 울리고 살았는데 이 부락에서 그 분들이 거기다가 연못을 파서 선유를 허고 살았는데, 그 연못에 여자 애기가 안 나왔어, 빠져 죽어갖고. 글고는 그 연못을 메꽈(메워)뿔었어. 그래서 그 연못이 지금 없고 한 쪽에 물이 나다본께로 ‘수그렁배미’가 있었는디, 지금…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8. 03. 16.

    [구례군] 연못이 논이 된 사연 인기 0    조회 191    댓글 0

    옛날에 백련리는 큰~~ 연못이었는데, 그 연못가에는 그 그 인자 그 절이 하나 있었어. 그 인자 절을 그 백련사라고 그 유명한 스님 그 도선국사라는 스님이 그 인자 절을 지어 가지고 거기서 이렇게 인자 수련을 하고 계셨거든. 근데 인자 지금 생각해보면 조그만한 연못이 아니고, 이 연못이 엄청 아마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7년 5월 17일